상장사 이익 증가와 코스피 상승 간 괴리



지난 10년간 한·미 상장사들의 순이익이 2배로 늘어난 반면, 코스피는 24%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특히, 같은 기간 동안 S&P 500 지수는 196% 상승하여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이유와 그 배경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상장사 이익 증가와 코스피 상승간 괴리


상장사 이익 증가: 왜 성장은 지속되었나?


상장사들의 순이익이 2배로 증가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기술 혁신글로벌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기업들은 더 많은 매출을 창출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IT헬스케어 분야에 속하는 기업들은 매출 성장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눈부신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둘째,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의 유연한 경영 전략을 통해 비용 절감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이익을 증가시켰습니다. 비용 구조를 재조정하고,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한 기업들은 말 그대로 '우수한 경영'의 사례로 손꼽힙니다. 

셋째, 저금리 환경에서도 기업들은 타기업과의 인수합병 및 전략적 제휴를 통해 더 많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으며, 이는 결국 기업 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이익 증가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신호로 인식되었고, 상장사들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습니다.

코스피 상승: 시장과의 괴리


반면, 코스피는 상장사들의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24%라는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글로벌 경제 불안정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외부 변화들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며 코스피의 상승을 저해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의 정치적 불안정성도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위험회피 성향을 보였고, 이는 당연히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코스피는 기업의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한편,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 행렬도 코스피 상승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지난 몇 년간 한국 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줄어들면서, 주가 상승에 필요한 수급이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코스피가 상장사 이익 증가와는 별개로 지지부진한 상승폭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S&P 500 상승: 미국 시장의 강세


S&P 500 지수는 같은 기간 동안 무려 196%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시장의 이러한 상승 배경에는 기술 중심의 기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아마존, 구글, 애플과 같은 기업들의 주가는 매출과 이익의 증가를 반영하며 혜택을 보았습니다. 더불어 미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저금리 정책 역시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가계와 기업들에 금융적 여유를 제공하며 소비 증가로 이어졌고,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 이익 증가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결국, 미국 주식 시장은 코로나19의 충격을 빠르게 극복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상장사들의 실적 향상과 미국 경제의 회복력이 맞물려 S&P 500 지수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결론적으로, 한·미 상장사 이익의 증가와 코스피 상승 간의 이질적인 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장사 이익 증가는 글로벌 환경과 기업들의 우수한 경영 전략에 기인하고, 반면 코스피의 저조한 상승은 정치적 및 경제적 불확실성에 주로 원인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외 시장의 이해와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4년 소득 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

인스타그램 계정 삭제시 계정과 연결된 다른 웹사이트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계정 삭제하기